[Ubuntu] WSL MariaDB 서버 환경 구성 2/2

이미지
  설정순서 ubuntu 초기 설정 mariaDB 기본 설정 mariaDB 외부 접속 설정  저번글은 wsl, ubuntu 18.04, mariaDB, heidiSQL 설치에 관하여 다루었고 이번글에서는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작업환경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ubuntu 초기 설정 root 비밀번호 설정  wsl을 설치하고 최초 접속을 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이 됩니다. 관리자(root)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중요한것은 다들 아시죠? 방법은 아래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윈도우 터미널 : wsl -u root 우분투 터미널 : #sudo passwd root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이름과 ip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확인해본 결과 Static IP를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yaml 파일을 추가하여도 재부팅이 되면 설정값이 날라갑니다. 확인이 되기 전에는 Static에 관련된 설정은 안하도록 하겠습니다.  브릿지 모드와 포트포워딩 방법은 추후 시간이 되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확인 WSL 접속 전 이더넷 이름 및 IP 확인 C:\>wsl ifconfig WSL 접속 후 이더넷 이름 및 IP 확인 #ifconfig   ** 브릿지 : hyper-v 어댑터 설정하는 방법(추후)   ** 포트포워딩 : wsl2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방법(추후) 언어 설정  설치 시 선택한 언어 외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언어 패키지를 설치하여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wsl은 기본 영문에 utf-8인코딩을 사용합니다. 한국어팩을 설치해 보고 적용합니다. 언어 확인 :  #locale 언어 설정 파일 위치 :  /etc/default/locale 한글 패키지 설치 및 적용 :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fonts-...

[Ubuntu] WSL MariaDB 서버 환경 구성 1/2

이미지
필요 준비물 H/W : Surface PRO 7, Internet S/W : Windows 11, wsl2, ubuntu 18.04, command, mariaDB, heidisql, apt 설치순서 Linux Server : wsl2, ubuntu 18.04 설치 DB Server : apt update, maria DB 설치 DB 접속툴 : DB connect Tool 설치  DB서버 설치는 Windows 11 Home의 wsl2를 이용하여 ubuntu 18.04를 설치합니다. ubuntu 18.04에 DB Server를 설치합니다. Windows의 DB접속 프로그램(heidisql)을 이용하여 외부 접속 확인을 합니다. Windows 10 버전에서 사용하신다면 업데이트를 최신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즈 터미널은 스토어에서 Windows Terminal로 검색하여 보시고 마음에 드시면 다운받아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커맨드(command)를 실행하여 사용합니다. 👌 1. Linux Server 설치  커맨드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실행 [ Windows+R -> cmd ] WSL2 설치 wsl --install  입력하여 설치 후 윈도우 재시동 wsl --update  설치가 안되었을 경우 다시 설치합니다. WSL2 확인 wsl --set-default-version 2  입력 wsl -l -v  입력하여 설치된 파일 확인(목록이 나오지 않는 것이 정상) ubuntu 설치 wsl -l -o  입력하여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서 받을수 있는 목록 확인 wsl --install -d Ubuntu-18.04  입력하여 설치 wsl -l -v  입력하여 설치된 파일 확인 계정과 비번을 설정하여 접속을 해본다.(잊어버리면 안됨!!) 💥💥 ubuntu 확인 wsl -l -v 를입력하여 설치된 파일 확인(ubuntu 18.04가 나오는 것이 정상)...

[Windows] App 개발환경 구성 2/3

이미지
설정순서 형상관리툴 설정 개발툴 설정 선행 분석 소스 설정  저번글은 프로그램 설치에 관하여 다루었고 이번글에서는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작업환경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형상관리툴 설정 Bitbucket 설정  프로젝트 이슈/히스토리 관리를 하고 싶은 경우 여러 협업도구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Atlassian의 협업 도구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Atlassian의 Jira, Confluence, Bitbucket 에 대하여 설정을하고 Sourcetree를 사용합니다.  혼자 작업을 하는 경우 Jira와 Confluence는 사용하지 않고 소스 관리를 할 수 있는 Bitbucket만 이용하도록 합니다.  차후 작업을 진행하며 Jira와 Confluence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개인 이메일로 Atlassian에 가입을 합니다. 저는 구글 메일로 가입을 하였습니다.  가입을 하면 Jira, Confluence, Bitbucket 통합하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Bitbucket으로 들어가서 Create Repository를 누르고 private로 빈 레파지토리 를 만듭니다.  레파지토리에 파일을 하나 추가합니다. [ .gitignore ] 안에 내용은 아래의 코드를 복붙합니다. ----------------------------------------------------------- # These are some examples of commonly ignored file patterns . # You should customize this list as applicable to your project . # Learn more about . gitignore : # https : //www.atlassian.com/git/tutorials/saving-changes/gitignore # Log ...

[Windows] App 개발환경 구성 1/3

이미지
필요 준비물 H/W : Surface PRO 7, Internet S/W : Visual Studio 2019 Community, git, sourcetree 설치순서 형상관리툴 : git, sourcetree 설치 개발툴 : Visual Studio 2019 Community 설치 선행 분석 소스 : Systeminfomer v2.39 설치  유틸리티는 웹 모니터링, 앱 모니터링, DRM 3가지로 구성하고 있으며 모두 Win32 프로그램으로 개발 합니다. Visual Studio 2019 Community C++을 사용합니다. App 개발 환경 구성이 끝나면 레파지토리에 올릴 수 있는 빈프로젝트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 1. 형상관리툴 설치 Git 다운로드  후 설치 진행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설치한 Git 버전을 기억하여 설치후 맞는 버전이 설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Windows+R -> cmd -> git --version   Sourcetree 다운로드  후 설치 진행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2. 개발툴 설치 Visual Studio 2019 Community 다운로드   후 설치 진행 과정을 통하여 컴퓨터에 설치합니다. 서브스크립트 회원가입 후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커뮤니티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합니다. 설치시 아래 항목을 체크합니다. 3. 선행 분석 소스 설치 Git url : systeminformer  오픈 소스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1/VS2022 작업으로 인해 이전 Stable 버전 v2.39를 받습니다. Source Code 다운로드 후 압축을 해제합니다.  여기까지 설치 과정이 끝났습니다.  다른 부분이 있으면 문의하기를 통하여 남겨주세요.  다음글은 설정관련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

[MACOS] Unity 개발환경 구성 2/3

이미지
  설정순서 형상관리툴 설정 개발툴 설정  저번글은 프로그램 설치에 관하여 다루었고 이번글에서는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작업환경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형상관리툴 설정 Bitbucket 설정  프로젝트 이슈/히스토리 관리를 하고 싶은 경우 여러 협업도구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Atlassian의 협업 도구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Atlassian의 Jira, Confluence, Bitbucket 에 대하여 설정을하고 Sourcetree를 사용합니다.  혼자 작업을 하는 경우 Jira와 Confluence는 사용하지 않고 소스 관리를 할 수 있는 Bitbucket만 이용하도록 합니다.  차후 작업을 진행하며 Jira와 Confluence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개인 이메일로 Atlassian에 가입을 합니다. 저는 구글 메일로 가입을 하였습니다.  가입을 하면 Jira, Confluence, Bitbucket 통합하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Bitbucket으로 들어가서 Create Repository를 누르고 private로 빈 레파지토리 를 만듭니다.  레파지토리에 파일을 하나 추가합니다. [ .gitignore ] 안에 내용은 아래의 코드를 복붙합니다. ----------------------------------------------------------- Unity Git ignore # This . gitignore file should be placed at the root of your Unity project directory # # Get latest from https : //github.com/github/gitignore/blob/main/Unity.gitignore # [ Ll ] ibrary / [ Tt ] emp / [ Oo ] bj / [ Bb ] uild / [ B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