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WSL MariaDB 서버 환경 구성 2/2

설정순서 ubuntu 초기 설정 mariaDB 기본 설정 mariaDB 외부 접속 설정 저번글은 wsl, ubuntu 18.04, mariaDB, heidiSQL 설치에 관하여 다루었고 이번글에서는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작업환경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ubuntu 초기 설정 root 비밀번호 설정 wsl을 설치하고 최초 접속을 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이 됩니다. 관리자(root)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중요한것은 다들 아시죠? 방법은 아래 두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윈도우 터미널 : wsl -u root 우분투 터미널 : #sudo passwd root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이름과 ip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확인해본 결과 Static IP를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yaml 파일을 추가하여도 재부팅이 되면 설정값이 날라갑니다. 확인이 되기 전에는 Static에 관련된 설정은 안하도록 하겠습니다. 브릿지 모드와 포트포워딩 방법은 추후 시간이 되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확인 WSL 접속 전 이더넷 이름 및 IP 확인 C:\>wsl ifconfig WSL 접속 후 이더넷 이름 및 IP 확인 #ifconfig ** 브릿지 : hyper-v 어댑터 설정하는 방법(추후) ** 포트포워딩 : wsl2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방법(추후) 언어 설정 설치 시 선택한 언어 외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언어 패키지를 설치하여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wsl은 기본 영문에 utf-8인코딩을 사용합니다. 한국어팩을 설치해 보고 적용합니다. 언어 확인 : #locale 언어 설정 파일 위치 : /etc/default/locale 한글 패키지 설치 및 적용 :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fo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