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OS] Unity 개발환경 구성 2/3
설정순서
- 형상관리툴 설정
- 개발툴 설정
저번글은 프로그램 설치에 관하여 다루었고 이번글에서는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작업환경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1. 형상관리툴 설정
- Bitbucket 설정
프로젝트 이슈/히스토리 관리를 하고 싶은 경우 여러 협업도구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Atlassian의 협업 도구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Atlassian의 Jira, Confluence, Bitbucket 에 대하여 설정을하고 Sourcetree를 사용합니다. 혼자 작업을 하는 경우 Jira와 Confluence는 사용하지 않고 소스 관리를 할 수 있는 Bitbucket만 이용하도록 합니다.
차후 작업을 진행하며 Jira와 Confluence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개인 이메일로 Atlassian에 가입을 합니다. 저는 구글 메일로 가입을 하였습니다. 가입을 하면 Jira, Confluence, Bitbucket 통합하여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Bitbucket으로 들어가서 Create Repository를 누르고 private로 빈 레파지토리를 만듭니다.
레파지토리에 파일을 하나 추가합니다. [ .gitignore ] 안에 내용은 아래의 코드를 복붙합니다.
-----------------------------------------------------------
-----------------------------------------------------------
.gitignore를 만드는 이유는 소스코드만 추적하기 위해서 입니다. 코드안에 url을 들어가서 확인해보고 차후 어떤것들을 추가할지 고민해봅니다. 불필요한 파일들은 올라가지 않도록 꼼꼼히 체크합니다.
- Sourcetree 설정
- Bitbucket 레파지토리에서 Clone 버튼 클릭
- Clone in Sourcetree 버튼을 누른 후 인증과정에서 암호를 입력하여 설정합니다.
- Unity 설정
- Unity Hub를 실행하여 빈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Unity 메뉴에 Editor설정을 확인합니다.
- Clone한 디렉토리에 빈프로젝트를 복사한 후 소스트리 화면입니다.
- File Status를 누른 후 Unstage files의 체크를 누릅니다.
- 클라이언트(내컴퓨터)에서 템플릿 원형을 첫 푸쉬합니다.
** 윈도우 문의가 있어서 추가 글 적습니다.
** 윈도우에서 인증이 안될 경우 확인해봐야 할 부분
- 도구 -> 옵션 -> Git -> Embedded Git을 System Git으로 설정
- 도구 -> 옵션 -> Accounts -> Add -> Bitbucket, oAuth로 암호 인증
2. 개발툴 설정
Unity나 Visual Studio 2022 for mac에도 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굳이 Sourcetree를 사용하는 이유는 Unity는 유료라 배제하였고 Visual Studio내 깃보다 기능과 가시성이 Sourcetree가 월등히 높기 때문입니다. Sourcetree 관련 설명도 천천히 진행하겠습니다.
Unity 사이트에서 사용 계정을 만들고 사용하면 Unity Asset Store에서 다운로드한 패키지들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구글 메일을 만드신 분들은 가입시 원클릭으로 가입이 됩니다.
- Unity 설정
- Unity 추가 install 설정은 Unity Hub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프로그램은 추가할 수는 있지만 제거는 안됩니다.
- Visual Studio 설정
- 비쥬얼스튜디오 설정에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