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Heroku - API json server 1/2

필요 준비물 Heroku, postman 계정 Browser - Chrome vscode, nodejs, postman - download 작업내용 json-server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db.json 스크립트 작성 json-server 실행 및 테스트 postman 기본 사용법 API json server를 구축하여 통신을 하는 이유는 DB나 WebServer 등 직접 접근하지 않고 미들웨어를 통하여 접근해보기 위해서 입니다. 여러 이슈(특히 보안, 인증, 라우팅) 관련하여 미들웨어를 통하여 접근을 하게되면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API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서비스를 직접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노드 기반(제로 코드, 30초 완성 json server )서버라는 오픈 소스를 이용하여 Heroku에 서비스를 올려서 테스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료 서비스를 통하여 테스트를 하려면 MOCK API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물론 여러개 api를 만들면 비용이 발생합니다. 테스트는 postman이라는 어플을 이용하겠습니다. 1. json-server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vscode와 nodejs는 Post [MACOS] React 개발환경 구성 1/2 를 참고하여 설치해주세요. node 18.3 이상이 필요하여 node를 업그레이드 해야될수도 있습니다. brew를 통한 nodejs 관리 명령어를 몇가지 익혀봅니다. brew list : 목록에서 설치된 node 버전을 봅니다. node@10/12/15/18 등등 brew install node@(10/12/18 version) : 설치할 node version brew list : 설치된 node 버전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rew link --overwrite node@(10/12/18 version) : 연결할 버전 링크 설정 expo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