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Amazon AWS EC2 1/2

필요 준비물 AWS 계정 - Console login(Root) Browser - Chrome 설치순서 네트워크 구성 웹 서버 생성 로드 밸런서 구성 아마존 퍼블리싱 환경은 EC2를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합니다. 아마존 계정은 여기서 생성하고 만들도록 합니다. 계정을 만든 후 설정에서 언어와 리젼(지역)을 선택합니다. 계정과 환경 설정의 설명은 여기서 제외합니다. 아마존 AWS는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에 따른 지불이 사용한만큼 받는 합리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용하기로 합니다. 또한 전세계에 센터들이 있어 로컬 호스팅 서비스와는 다릅니다. 다른 호스팅도 글을 통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서비스 메뉴에서 EC2/VPC 서비스를 즐겨찾기로 설정하면 편리합니다. (서비스들이 너무 많습니다. 서비스들 설명만 해주는 자격증이 있을 정도) 1. 네트워크 구성하기 VPC(Virtual Private Cloud) 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의 네트워크 공간 안에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VPC 생성하기 VPC콘솔 에 로그인을 한 후 VPC 마법사 시작을 통해 진행합니다. VPC 설정에서 VPC-Lab, 10.0.0.0/16으로 설정합니다. 가용영역(AZ)는 1개를 선택하고, ap-northeast-2a로 선택합니다. VPC IPv4 DIDR 블록 값을 지정할 때에는 향후 직접 연결할 가능성이 있는 네트워크와 주소가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향후 확장을 고려하여 충분히 큰 주소를 할당합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VPC-Lab-vpc 이름의 VPC를 볼 수 있습니다. 이름 변경하기 서븐넷 화며에 들어가서 방금 서브넷 이름도 public subnet A로 변경해 줍니다. 현재까지의 아키텍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중 가용 영역에 서비스를 배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에서 생성한 서브넷이 위치한 가용 영역 A 외에 다른 가용 영역인 ...